밈코인분석

2025.08.05 13:35

Useless Coin (USELESS) 분석 및 전망

  • 24밈 오래 전 2025.08.05 13:35
  • 12
    0

Useless Coin (USELESS)에 대한 2025년 7월~8월 기준 최신 분석 및 향후 전망입니다



프로젝트 개요 및 최근 성장

  • Useless Coin은 Solana 기반의 밈코인으로, “아무 효용도 없는 것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브랜드 전략으로 시작해 커뮤니티 중심 성장으로 급부상했습니다. 런칭 초기에는 Roadmap·팀 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정직함이 오히려 투자자 관심을 끌었습니다.

  • 이후 자발적 커뮤니티 주도로 성장하며, 유동성 집계 기능(liquidity aggregation) 등 실험적 DeFi 유틸리티를 도입해 진화하고 있는 중입니다.



시장 성과 요약

  • 최근 며칠간 가격 약 2,000% 급등, $0.004에서 $0.10 수준까지 상승하며 약 $100M 시장가치 달성 이후 $258M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2025년 7월 28일 $0.412 ATH를 기록했으며 현재는 약 $0.25선에 위치합니다.

  • Circulating Supply는 10억, 시가총액은 약 $258M, 24시간 거래량은 약 $22M~$29M 규모입니다.



주요 특징 및 성장 배경

  • *커뮤니티 주도 운영: - 개개발사나 VC 개입 없이 순수 리테일 중심으로 성장. - 소소위 “community takeover” 상태가 이어지고 있으며, 브랜드 자체를 PDA(Parody, 디스)하는 방식으로 재미와 정체성을 유지 중입니다.

  • *DeFi 기능 구현 시도: - 초초기에는 “효용 없음”이었지만, 현재는 유동성 집계 및 스테이킹 가능성 등 실험적 기능들이 일부 도입된 단계입니다.

  • *BonkFun 플랫폼과의 연계: - SSolana 밈코인 생태계 내 BonkFun 플랫폼이 81%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수익 재투자 구조(토큰 소각, $BONK 바이백 등)를 도입 중. - UUseless Coin도 이 흐름에서 수혜를 입고 있으며, 에코시스템 내 유기적인 관계 강화 영향으로 평가됩니다.



가격 전망

단기 (2025년 하반기)

  • *TradingBeasts / WalletInvestor 모델은 2025년 가격 범위를 $0.2126~$0.2703, 평균 $0.2415로 예측 중입니다.

  • 기기술적 분석상, 최근 고점 대비 20% 조정 후 $0.20$0.30 구간에서 변동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장기 (2026~2030)

  • 현현재까지 명확한 중기 예측은 부족하지만, 커뮤니티 기반 유틸리티 가시화 시 시장 안정성 확보 가능성 존재합니다. 다만 현재는 순수 스펙 기반으로만 평가되므로 보수적 접근 필요입니다.



위험 요인 및 유의사항

  1. **투명성 부족: 백서·팀 정보·로드맵 미공개 상태. 일부 분석에서는 “펀더멘털 불명확”이라는 지적 제기됨.

  2. **밈 중심 투자 리스크: FOMO 및 바이럴 중심 상승으로, hype가 꺼질 경우 급락 여지 큼.

  3. **기관 영향 제한적: Bybit에서 futures 상장이 되었으나, 자체적 발표 없이 이뤄진 것으로, 제도권 수용성에는 한계 존재.

전략 요약

접근 관점 전략 제안
단기 트레이딩 최근 고점 대비 20% 조정 구간에서 반등 노림. $0.20$0.30 사이에서 단기 익절 전략 유효.
중기 보유 유틸리티 기능 확장, 스테이킹 출범, 공식 roadmap 발표 이후 분할 진입 추천.
리스크 관리 투자 금액은 소액 중심, 커뮤니티 활동량·온체인 유동성 지표 지속 모니터링.


종합 정리

  • **Useless Coin (USELESS)**은 “가치 없음이 곧 가치”라는 전략으로 출발한 밈코인이었으나, 커뮤니티와 바이럴 중심의 성장 흐름 속에서 일부 DeFi 기능을 잇고 있는 단계입니다.

  • 단기적으로는 $0.20~$0.30 구간에서 변동성 기반 트레이딩, 중기적으로는 실제 유틸리티 구현 이후 검토 가능한 프로젝트로 평가됩니다.

  • 다만, 현재 시점으로는 투명성·펀더멘털 기반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투자 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



1.png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